스프링 3.1 vol2 - 빈 등록 방법 1) XML가장 대중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방식이다. 와 같은 방법으로 간단하게 하나의 빈을 생성 가능하다. 위는 간단하게 예시를 든것이며, 1.2.1에서 봤듯이 추가적인 옵션을 지정할 수 있다.이러한 XML을 통한 빈 등록 방식은 대표적으로 2가지 정도의 문제점을 가진다.첫째로, 빈의 성격구분을 하기 힘들어진다. 등록된 빈 들은 각각 성격이 존재한다. 컨트롤러, 서비스. 레파지토리, 설정 등.. 하지만 위와 같은 형태로 빈을 등록하게 되면, 모든 빈이 일관되게 태그로 정의된다. 그렇게 되면 설정파일만 보고는 해당 빈의 역할을 파악하기 힘들어진다.스프링은 이러한 상황을 위해 10여가지의 namespace와 custom-tag들을 제공해준다. 예를 들면, AOP의 포인트컷으로 등록된 빈은 아래와 같이 표현 .. 더보기 이전 1 2 3 4 5 ··· 75 다음